어려운 경제 뉴스를 쉽게 풀어드리는 '경제부 1타강사' 시간입니다. <br /> <br />오늘은 기준금리와 물가, 경기와의 상관관계를 설명해 드립니다. <br /> <br />조태현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오늘 말씀드릴 내용은 '빅스텝'입니다. <br /> <br />기준금리를 이렇게 올리는 게 물가를 어떻게 안정시킨다는 걸까요? <br /> <br />기준금리를 높이면 시중금리, 그러니까 대출금리가 오르게 되겠죠? <br /> <br />예금금리도 오르니까 사람들이 대출을 줄이거나 꺼리고, 반대로 예금은 늘리게 될 겁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 시중에 풀린 통화량이 줄어들게 됩니다. <br /> <br />물가가 오른다는 건 지금 돈의 가치가 떨어진다는 뜻입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돈의 양을 줄였으니까 가치가 다시 오르게 되겠죠? <br /> <br />이 과정에서 물가 상승률이 낮아진다는 논리입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역시 경기입니다. <br /> <br />우선 높은 금리 부담에 소비가 줄었으니까 경제의 한 축인 내수가 타격을 받게 됩니다. <br /> <br />또, 높은 이자비용 때문에 기업이 투자를 미룬다면 이 과정에서 나올 고용, 그리고 새로 창출할 예정이었던 부가가치는 사라집니다. <br /> <br />이자비용이 늘어나면 돈을 갚지 못하는 사람도 많아지게 되고 금융권과 정부가 연쇄적으로 타격을 받게 됩니다. <br /> <br />한국은행 역시 경기 둔화를 우려하곤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창용 총재는 기준금리가 1%포인트 오르면 경제성장률이 0.2%포인트 하락한다고 설명했는데요, <br /> <br />자칫 기준금리 인상이 경기침체를 앞당길 수 있다고 우려하는 배경입니다. <br /> <br />YTN 조태현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조태현 (choth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0716221649259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